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 등본 발급하기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 등본 발급 방법

토지를 매매할 때 꼭 봐야 할 기록물 중에 하나라서 그런지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 방법을 알아보시는 분들의 발걸음도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땅의 위치, 형질, 면적, 소유관계, 지목, 경계 등을 자세하게 보려면 정부24가 좋고, 약식으로 무료검색을 하려면 네이버가 좋은데, 각각의 사이트와 이용방법을 아래 엮었습니다. 혹시 봐야 할 토지가 있다면, 이번에 엮어둔 정보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지적도 무료검색 등본 보는 곳 바로가기

     

     

    왠지 간단하게 볼 수 있는 방식을 선호하시는 분들이 더 많으실 것 같아요. 그러니 네이버부터 얘기를 하겠습니다. 포털을 경유하거나 [map.naver.com]를 주소창에 입력해서 사이트를 띄워주세요.

     

    네이버 맵으로 이동하셨다면, 일단은 관심을 두고 있는 토지 위치부터 무료검색을 해주세요. 마우스 휠로 드래그를 하면서 위치를 선택하셔도 되고, 왼쪽 상단의 찾기 도구를 활용하셔도 됩니다.

     

    위치를 불러온 뒤에는 오른쪽으로 시선을 옮겨주세요. 그럼 지도 양식을 바꾸는 버튼들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과 관련된 메뉴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간단하죠?

     

    이 정도의 내용만 알아두시면 간단하게 토지를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이렇게 글을 끝내면 제가 너무 아쉬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직 전해드리고 싶은 다른 내용도 더 있어요. 그러니 아래쪽에서 정보를 계속 이어가볼게요. 그래도 괜찮겠죠?

     

     

    간단한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 방법

    지적도 인터넷 열람과 무료검색 방법

    먼저 얘기한 네이버에 대해서 조금만 보충 설명을 하자면, 지도 양식을 변경해도 인터넷 무료검색 결과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지도를 너무 축소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니, 마우스 휠을 굴리면서 지도를 확대해 주세요.

     

    그리고 이렇게 네이버를 통해서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을 할 땐, 위성지도와 지형지도, 테마, 거리뷰 등, 다양한 양식을 함께 활용할 수 있으니, 필요에 따라 메뉴들을 눌러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지적도 무료검색을 다음 인터넷으로 하는 법

    서두에서 따로 얘기하지 않았지만, 사실 다음을 통해서 볼 수도 있습니다. 혹시 평소 다음을 애용하고 있으시다면 [map.kakao.com]를 방문하셔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카카오맵에서도 메뉴를 눌러서 양식을 변경해주시면 되는데, 클릭을 해야 하는 메뉴의 정확한 위치는 하단 그림에 표시를 해둘게요. 여담으로 다음이 됐든, 네이버가 됐든, 어플을 설치하셔서 보실 수도 있으니, 스마트기기가 편할 땐 앱을 설치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해요.

     

    지적도 무료검색을 할 수 있는 다른 루트

    지적도의 정부24시 요청

    혹시 약식으로 무료검색을 해보는 것이 아니라 정식 기록물을 열람하고 인쇄를 해보고 싶으시다면, 정부24시[gov.kr]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정식으로 기목물을 열람하는 것은 엄청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부담스러울 것 같지만, 사실 막상 이용을 해보면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을 하는 것보다 조금 더 과정이 추가될 뿐, 막막한 부분은 조금도 없어요.

     

    좌우간, 정부24시 홈페이지를 띄우셨다면, 자주 찾는 서비스를 봐주세요. 여기를 잘 살펴보면 임야도를 요청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눌러주세요.

     

    지적도의 민원24시 처리 결과

    메뉴를 누른 뒤에는 안내 정보를 살펴봐 주세요. 그리고 안내에 따라 이용자 정보 및 토지 정보를 입력하면 인터넷 무료검색이 됩니다.

     

    참고로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으니, 비회원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보안모듈은 없어도 작업이 가능해요. 외에는 사이트에서 이용 방법을 세세하게 잘 알려주고 있으니, 제가 더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은 없을 것 같습니다.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과 함께 해볼 작업

    등기부

    사실 땅이라는 것은 하나의 기록물만 본다고 해서 따져볼 수 있는 그런 단순한 녀석(?)이 아니죠? 이렇게 온라인으로 확인해보실 정도로 관심을 두고 있으시다면, 등기부와 같은 다른 기록물을 살펴보는 것 역시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 등기부는 또 다른 사이트를 찾아가서 요청해야 합니다. 인터넷 등기소를 찾아가야 하는데, 다른 곳을 찾아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이용 방법은 메뉴를 누르고 빈칸을 채우는 것이 전부이니, 어려워서 막히는 부분은 없을 거예요.

     

    다만, 등기부의 경우 앞서 이용한 서비스와 달리 수수료가 있습니다. 크고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니지만, 미리 알아두지 않으면 왠지 배신감(?)이 들 수 있는 부분이라 넌지시 얘기를 해봅니다. 혹시 부동산에 계신 분과 연락을 주고받는 사이시라면, 부동산에 계신 분에게 요청해서 부담을 없애는 방법이 있기는 해요.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같은 맥락으로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를 찾아가보는 것 역시 조금 더 꼼꼼하게 땅을 보는 것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단,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는 곧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모든 서비스는 토지이음과 통합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얘기를 하자면 지적도 인터넷 무료검색과 함께 토지이음 사이트를 찾아가야 해요. 다행히 이번에는 이용하는데 부담이 없습니다. 사이트의 구성도 단순해요. 관심을 두고 있고 제대로 알아보고 싶은 땅의 소재지만 적당히 채운 뒤에 자료 열람을 해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입니다. 아무쪼록 보탬이 되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